본문 바로가기

#1. 사전 특강 - 1교시 - 1. 정의 - 자료형 : 정보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? // 방법을 정함 ㄴ 정수, 실수, 색깔, 소리 등 - 의미(용도) :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가? 2. 흐름(순서) ; 절차지향 ex) 로그인부터 로그아웃까지 순서를 따라 진행. 그것을 구상해야함 3. 코딩(수치화) - 컴퓨터 = 기계, 전기적 신호(0과 1)를 가지고 정보를 표현함. ㄴ 2진법 ; 전기 On, Off - 정보표현 방식의 차이 (컴퓨터와 사람) -> 컴퓨터 언어로 연결고리(코딩) - 표현하고자하는 정보를 정의하고 표현할 줄 알아야 함. ex) '1' : 문자 1, 1 : 정수 1 - RGB : Red, Green, Blue 의 약자로, 색의 3요소. 0~255로 색을 표현. (=256가지의 색 ; 2의 8승 = 8 b.. 더보기
#7. 상수와 리터럴 #7. 상수와 리터럴 * 변수(variable) :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(변경 O) * 상수(constant) : 한번만 값을 저장 가능한 변수 (변경 X) * 리터럴(literal) :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ㄴ 기존의 상수라 생각하면 됨 int score = 100; int score = 200; final int MAX = 100; // MAX는 상수 MAX = 200; // 에러 char ch = 'A'; string str = "abc"; * 이클립스 실습 final int score = 100; score = 200; // 에러 -> score = 200; 을 주석처리하거나, 아니면 상수를 final int score; 로 하면 됨 상수의 선언과 초기화를 따로해도 되지만, 동.. 더보기
#6. 변수의 타입 #6. 변수의 타입 1. 변수의 타입 1) 변수의 타잊은 저장할 값의 타입에 의해 결정된다. - int age = 25; // age [25] ㄴ 정수 ㄴ 정수 : 변수와 값의 타입 일치 - int age = 3.14; // age [???] ㄴ 정수 ㄴ 실수 : 변수와 값의 타입 불일치 2) 저장할 값의 타입과 일치하는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 - char ch = '가'; // ch[가] ㄴ 문자형 ㄴ 문자 : 변수와 값의 타입 일치 - double pi = 3.14; // pi[3.14] ㄴ실수형 ㄴ 실수 : 변수와 값의 타입 일치 2. 값의 타입 1) 값 - 문자 - char ㄴ 가나다ABC - 숫자 - 정수 - byte, short, int, long ㄴ 0, 25, -100 - 실수 - float.. 더보기